오픈 로그인계정을 선택해 로그인 해 주세요.
이데일리 계정 또는 소셜 계정으로 로그인하시면
의견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신고사유

신고하기취소하기

*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 주세요.

한국공학한림원, '미래모빌리티위원회' 출범

2025.01.13 17:08 | 정병묵 기자 honnezo@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한국공학한림원은 13일 서울 강남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미래모빌리티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했다.

한국공학한림원, `미래모빌리티위원회` 출범
한국공학한림원이 13일 서울 강남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미래모빌리티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했다.
미래모빌리티위원회는 글로벌 기술 혁신과 산업 변화 속에서 대한민국이 모빌리티 혁신을 선도할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출범하였다. 위원장은 서울대 기계공학부 민경덕 교수가 맡았으며 관련 분야 국내 최고 전문가 10명으로 구성되었다.

민 위원장은 “이번 미래모빌리티위원회의 출범은 기술, 산업, 정책 전반에서 대한민국이 글로벌 모빌리티 산업의 선도 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학계, 산업계, 연구계, 정부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비전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용화 현대자동차 고문은 기조발표에서 모빌리티 산업 전반의 현황과 이슈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며 해당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였다.

김 고문은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정리해 제시하고, 이어서 모빌리티 시장을 다양한 면에서 예측한 결과를 현재와 비교하며 설명했다. 기술, 생태계, 고객 경험 측면에서 도전 상황과 제안 사항을 제시했다.

그는 “특히 인더스트리 4.0의 초연결성과 초지능화 기술을 기반으로 발전해 온 모빌리티 혁신이 ‘CASE(커넥티드카·자율주행차·차량공유·전동화)’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과 기술 도입 과정에서 겪는 기술 혁신 간극 ‘캐즘’으로 성장이 주춤했다”며 “하지만 여전히 기술 혁신, 소비자 중심 변화 등으로 모빌리티 산업은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한국 산업계가 변화를 기다리기보다는 능동적으로 계획과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이번 위원회 출범이 모빌리티 산업의 지속 가능한 혁신을 위한 여정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조발표 이후 이어진 패널발표와 토론에서는 국내 모빌리티 산업을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각자 분야에 대해 발표했다. 김창환 현대자동차 부사장,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부사장, 최강림 KT텔레캅 기업사업부문장, 차두원 전 소네트 대표가 패널로 참여하였다. 이들은 각자 디바이스, 서비스, 기술, 정책과 규제 차원에서 현재 직면한 도전 과제와 해결 방안을 공유하며,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윤의준 한국공학한림원 회장은 “미래모빌리티위원회의 출범이 대한민국 모빌리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마중물이 되길 기대한다”며 “한국공학한림원은 앞으로도 이를 위한 정책적, 기술적 과제 해결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레이싱 모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