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로그인계정을 선택해 로그인 해 주세요.
이데일리 계정 또는 소셜 계정으로 로그인하시면
의견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신고사유

신고하기취소하기

*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 주세요.

'감놔라 배놔라'…한국 車노조, 度넘은 경영간섭

2019.04.21 19:47 | 이소현 기자 atoz@

`감놔라 배놔라`…한국 車노조, 度넘은 경영간섭
부분 파업으로 작업이 멈춰있는 르노삼성차 부산공장(사진=르노삼성차)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현대자동차(005380)와 르노삼성차 등 국내 완성차업체 노동조합이 경영·인사에 개입하고 나서서 시름이다. 전 세계 자동차업체 중 한국 노조만의 유일 무일한 주장으로 국제 기준에도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자동차 산업은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공유경제 등 산업구조 재편과 무역전쟁과 같은 환경 변화에 직면해 있다. 외부환경은 변화하는데 노조는 30년 전 투쟁방식을 고수하면서 변화하지 못하면 현대차의 가장 큰 시장이고 성과를 안겨줬던 중국공장처럼 국내에서도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21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올해 추석 전 타결을 목표로 다음 달 8일 단체교섭 요구안 마련을 위한 임시대의원 회의를 시작으로 임단협 투쟁에 돌입한다.

하부영 현대차노조 지부장은 노조신문을 통해 “올해 임단협 요구안은 임금과 성과급, 정년연장, 통상임금, 해고자 복직 및 손해배상임시압류 철회, 정년퇴직자 등의 인원충원 등 핵심과제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년연장과 통상임금 해결 등 핵심과제에 집중해 압축교섭과 강도 높은 투쟁을 예고했다. 현대차 노조는 “조합원들의 대규모 정년퇴직으로 2025년까지 최소 1만명의 정규직 인원을 충원해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반면 현대차는 “내연기관보다 부품이 적은 친환경 자동차 생산으로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어 기존 인력을 줄여야 할 상황”이라고 맞서고 있다. 앞서 현대차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졸 신입사원 채용 방식을 부문별로 인력이 필요한 시점에 연중 계속하는 수시공채로 변경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스마트 공장과 친환경차 생산, 부품 모듈이 확대하는 등 자동차 산업 변화의 시기에 서로 힘을 보태야 할 노사가 오히려 증폭된 갈등 관계를 우려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전기차에 필요한 부품은 내연기관차에 비해 50% 가량밖에 안 되고 구조가 단순해 중소기업에서도 만든다”며 “공유경제 확대로 자동차 생산이 20~30%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 속에서 자동차 업체들은 다양한 모델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출시해야 하는 ‘생존’의 갈림길에 서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글로벌 자동차업체 어디를 봐도 생산을 늘리거나 전환배치할 때 노조에 양해를 구하는 ‘협의’가 아니라 반드시 동의가 필요한 ‘합의’가 필요한 곳은 대한민국뿐”이라며 “제조업의 전성시대는 끝나가고 있는데 노조의 경영·인사 개입은 ‘고비용 저생산’ 구조에 힘든 자동차 산업을 더욱 어둡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역대 최장기간 파업을 진행 중인 르노삼성차 노조도 “전환배치시 노조 협의가 아니라 합의를 거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 같은 협약이 있는 글로벌 자동차업체는 한국의 현대차, 기아차, 쌍용차가 유일하다. 르노삼성차도 2012년까지 전환 배치는 합의사항이었지만, 당시 대규모 구조조정 이후 노사가 합심해 협약을 바꿨다. 노조의 변화한 입장에 르노삼성차는 “노조의 인사·경영권 합의 전환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김용진 한국자동차산업학회 회장(서강대 경영학과 교수)은 “글로벌 자동차 공장에서 전환 배치 노사 합의 문제는 있을 수 없는 사안”이라며 “르노삼성 부산공장은 위탁생산 공장으로 생산효율성이 굉장히 중요해 그에 따라서 인력 재배치가 이뤄져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자동차산업의 격변기 속에 노조는 인력 충원보다 회사의 존립과 미래 방향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기찬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혁신경제분과 의장(가톨릭대 경영학과 교수)는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 속에서 생각을 안 바꾼 종업원들이 많을수록 혁신은 떨어진다”며 “사람을 채용하는 것보다 중요한 게 종업원들에게 미래 방향에 맞는 교육을 통해 자긍심을 키우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30년 동안 자동차 생산 방식이 계속 발전한 가운데 종업원들도 생산성을 올려서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연구해야지 (현대차 노조가 회사에) 1만명 인력을 더 뽑으라고 요구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현대차가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변화에 나선 것처럼 내부에서 혁신하지 않는다면 3년 내 국내 공장도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레이싱 모델

    더보기